기흉 원인 흉통 호흡곤란 증상 정리해보겠습니다. 기흉이란 폐의 공기주머니인 폐 소기포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어나가고,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모이는 질환입니다.
흉막강은 흉벽, 횡격막, 폐를 둘러싼 흉막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말합니다. 정상적으로는 소량의 흉수만 존재하지만, 이 공간에 공기나 가스가 쌓이면 기흉이 발생합니다.
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배출되지 않으면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쏠려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
기흉의 원인
일차성 자연 기흉: 주로 키가 크고 마른 남성에게 발생하며, 폐 소기포에 의해 발생합니다. 대부분 흡연자에게 나타나며, 흡연 인구의 증가로 여성에서도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
이차성 기흉: 폐에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로, 폐질환이나 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. 폐 결핵, 암, 결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드물게는 유전적 요인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.
- 일차성 자연 기흉
전형적으로 키가 크고 마른 남성에게 흔히 발생하며, 폐의 상부에 있는 작은 폐 소기포에 의해 발생합니다. 대부분의 경우 흡연자이며, 흡연 인구의 증가로 여성에서도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
환자의 90% 이상이 흡연자인 것으로 보고되며, 흡연 인구의 증가로 인해 상대적 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컴퓨터단층촬영(CT)에서는 80%의 환자가 폐첨부에 기종성 변화를 보입니다.
- 이차성 기흉
폐실질에 발생한 질환으로, 교통사고나 추락 등의 외상으로 인한 외상성 기흉, 수술이나 중심정맥 삽관술과 같은 시술로 인한 의인성 기흉이 있습니다.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폐기종 등의 폐 질환입니다.
그 외에도 결핵, 악성 종양, 사르코이도시스, 낭성섬유증, 원발성 폐섬유증 등이 있으며, 유전적 요인도 관련이 있습니다. 특히 마르팡 증후군, 호모시스틴요증, 버트-호그-두베 증후군과 같은 유전질환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
- 외상성 기흉
교통사고나 흉곽 손상, 찔린 상처 등으로 인해 폐실질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. 흉막강 내에 피가 모이는 혈흉이나 기관지와 흉막 사이에 통로가 생기는 기관지 흉막루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.
외상성 기흉은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밀려 혈압이 떨어지고 심폐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긴장성 기흉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의 기계로 인해 긴장성 기흉이 유발될 수 있으며, 여성에서는 월경과 관련된 기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
기흉의 증상
흉통과 호흡곤란이 주요 증상입니다. 흉통은 갑자기 발생하는 날카로운 통증으로, 운동과는 관계없이 나타났습니다. 호흡곤란은 폐질환이나 기흉 정도에 따라 심할 수 있습니다.
기흉의 증상이 있다면 진단과 검사를 해야 합니다. 가슴 엑스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공기 음영이 보이며, 컴퓨터단층촬영(CT)을 통해 폐질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기흉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작은 기흉의 경우 산소 치료를 통해 자연적으로 치유되기도 하지만, 큰 기흉이나 증상이 심한 경우 흉관 삽관을 하거나 흉강 천자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. 공기 유출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합니다.
경과 및 합병증
기흉의 크기와 증상에 따라 치료 및 경과가 달라지며, 합병증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 기흉 치료 후에는 비행기를 타거나 스쿠버 다이빙을 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.